젤라틴, 한천, 판젤라틴 총정리
디저트에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젤라틴, 한천, 판젤라틴은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굳히기 재료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굳히는 역할을 합니다. 이 재료들이 어떻게 다르고, 어떤 원리로 굳히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디저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젤라틴, 한천, 판젤라틴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 재료의 특징과 레시피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젤라틴, 한천, 판젤라틴의 기본 개념젤라틴은 돼지나 소의 콜라겐에서 추출한 동물성 재료로, 겔화가 가능한 특성이 있습니다. 주로 푸딩, 마시멜로, 젤리, 생크림에 사용되며, 물에 풀어 가열하면 쉽게 녹고 응고됩니다. 반면, 한천은 식물성 재료로, 해조류에서 추출한 물질로,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욱 단단한 젤을 만듭니다. 한천은 특히 비건..
2025. 7. 14.
옥수수·감자·타피오카 전분 총정리
디저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 중 하나는 바로 '전분'입니다. 전분은 꾸덕한 농도를 만드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하고, 식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전분은 옥수수, 감자, 타피오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전분은 특성과 활용법이 달라 디저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분이 디저트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각기 다른 종류의 전분이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전분의 기본적인 역할과 특징전분은 주로 농도를 조절하고, 질감을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디저트에서 전분은 커스터드 크림, 푸딩, 젤리, 아이스크림 등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입니다. 이 외에도 소스나 푸딩의 농도를 맞추거나, 아이스크림의 질감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전분이 주는 ..
2025. 7. 13.
달걀, 베이킹에서의 역할 총정리
달걀은 단순히 수분감을 주는 재료가 아닙니다. 반죽에 넣는 것만으로도 구조, 질감, 향, 색에 이르기까지 디저트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재료입니다. 흰자와 노른자의 기능 차이부터 유화, 기포력, 열응고 반응까지 계란은 그저 재료라기보다는 과학이자 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달걀이 제과제빵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전체적으로 총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흰자와 노른자의 구조적 차이와 특징달걀은 크게 흰자와 노른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 흰자와 노른자는 제과제빵에서 서로 매우 다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우선, 각각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계란 흰자는 약 90%가 수분이고, 나머지 10%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단백질은 흰자를..
2025. 7. 12.
이스트, 베이킹파우더, 베이킹소다 차이
베이킹에서 제품의 부피와 조직감을 위해 사용되는 ‘팽창제’는 결과물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표적으로 이스트, 베이킹파우더, 베이킹소다가 있으며, 각각 전혀 다른 작용 원리와 사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팽창제의 작용 방식, 발효와 화학적 팽창의 차이, 그리고 실전에서 꼭 알아야 할 사용 시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이스트이스트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당분을 분해해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생물학적 발효’ 팽창제를 말합니다. 빵과 같은 발효빵제품에서 주로 사용되며, 반죽 속의 당을 먹고 발효하면서 천천히 기포를 생성합니다. 오랜 시간 숙성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반죽 속에 공기주머니를 만들어 부풀게 하면서 풍미도 깊어집니다.이스트는 건조이스트, 인스턴트드라이이..
2025.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