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프렌치, 스위스, 이탈리안 머랭 총정리 머랭은 제과제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료로,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디저트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과 제품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머랭에도 종류가 있고, 각각 만드는 방법과 성질이 다릅니다. 오늘은 프렌치 머랭, 스위스 머랭, 이탈리안 머랭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각의 특징과 활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머랭의 기본 원리머랭은 기본적으로 달걀흰자에 설탕을 넣어 휘핑한 후, 공기와 결합시켜 단단한 구조를 형성한 것입니다. 휘핑 시 흰자 속 단백질이 풀려서 거품을 만들고, 설탕은 이 거품을 안정화시켜 줍니다. 그러나 머랭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그 질감과 사용 용도가 달라집니다. 이제 프렌치, 스위스, 이탈리안 머랭의 차이점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1. 프렌치 머랭프렌치 머랭은 가장 기본.. 2025. 7. 14.
젤라틴, 한천, 판젤라틴 총정리 디저트에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젤라틴, 한천, 판젤라틴은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굳히기 재료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굳히는 역할을 합니다. 이 재료들이 어떻게 다르고, 어떤 원리로 굳히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디저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젤라틴, 한천, 판젤라틴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 재료의 특징과 레시피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젤라틴, 한천, 판젤라틴의 기본 개념젤라틴은 돼지나 소의 콜라겐에서 추출한 동물성 재료로, 겔화가 가능한 특성이 있습니다. 주로 푸딩, 마시멜로, 젤리, 생크림에 사용되며, 물에 풀어 가열하면 쉽게 녹고 응고됩니다. 반면, 한천은 식물성 재료로, 해조류에서 추출한 물질로,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욱 단단한 젤을 만듭니다. 한천은 특히 비건.. 2025. 7. 14.
초콜릿 템퍼링의 모든것 초콜릿을 단순히 녹여 굳히는 것만으로는 반짝이고 선명한 광택을 얻을 수 없습니다. 그런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 바로 ‘템퍼링’입니다. 템퍼링은 초콜릿 속 코코아버터의 결정 구조를 제어하여, 이상적인 물성을 가진 형태로 조절하는 과정입니다. 광택, 색감, 저장 안정성, 그리고 손에 잘 묻지 않는 깨끗한 결과물까지—모든 것이 이 과정에서 결정됩니다. 이 글에서는 템퍼링의 원리부터 종류별 온도표, 템퍼링 실패 시 나타나는 문제, 그리고 재템퍼링 노하우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템퍼링의 원리와 초콜릿 종류별 온도표초콜릿의 텍스처와 광택은 코코아버터의 결정 구조에 의해 좌우됩니다. 코코아버터는 총 6가지 결정형(형태)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중 5번 결정이 가장 안정적이며 이상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 2025. 7. 14.
옥수수·감자·타피오카 전분 총정리 디저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 중 하나는 바로 '전분'입니다. 전분은 꾸덕한 농도를 만드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하고, 식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전분은 옥수수, 감자, 타피오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전분은 특성과 활용법이 달라 디저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분이 디저트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각기 다른 종류의 전분이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전분의 기본적인 역할과 특징전분은 주로 농도를 조절하고, 질감을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디저트에서 전분은 커스터드 크림, 푸딩, 젤리, 아이스크림 등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입니다. 이 외에도 소스나 푸딩의 농도를 맞추거나, 아이스크림의 질감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전분이 주는 .. 2025. 7. 13.
달걀, 베이킹에서의 역할 총정리 달걀은 단순히 수분감을 주는 재료가 아닙니다. 반죽에 넣는 것만으로도 구조, 질감, 향, 색에 이르기까지 디저트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재료입니다. 흰자와 노른자의 기능 차이부터 유화, 기포력, 열응고 반응까지 계란은 그저 재료라기보다는 과학이자 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달걀이 제과제빵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전체적으로 총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흰자와 노른자의 구조적 차이와 특징달걀은 크게 흰자와 노른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 흰자와 노른자는 제과제빵에서 서로 매우 다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우선, 각각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계란 흰자는 약 90%가 수분이고, 나머지 10%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단백질은 흰자를.. 2025. 7. 12.
동물성/식물성 생크림부터 크림치즈까지 유제품 제대로 알고 쓰기 제과나 커피 토핑, 생초콜릿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제품은 종류에 따라 맛과 질감, 사용법에 큰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생크림, 휘핑크림, 식물성 크림, 우유 등은 유지방 함량과 성분에 따라 완전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제과 적용 방식도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생크림을 포함한 주요 유제품의 구분과 제과에서의 활용 팁, 휘핑 가능 여부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유지방 함량에 따른 휘핑 가능성과 제품의 차이유제품 중 가장 많이 혼동되는 것이 바로 생크림과 휘핑크림입니다. 생크림은 원유에서 지방 성분만 분리한 고지방 크림을 뜻하며, 유지방 함량이 35% 이상일 경우에 휘핑이 수월하게 가능합니다. 반면, 유지방이 18~34%인 크림은 일반적으로 휘핑하기 어렵거나 오래 .. 2025. 7. 9.